반응형 표정2 신체의 언어, 눈빛과 표정 그리고 몸짓 신체 언어 몸가짐과 제스처를 우리는 보통 신체 언어라고 부르는데, 이와 같은 신체 언어를 버드휘스텔은 동작함이라는 독립된 학문 분야로 발전시켰습니다. 버드휘스텔에 의하면, 실체 언어에는 음성언어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더위와 체계와 규칙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적인 측면에서도 음성 언어에 비해 훨씬 많기 때문에 표현능력 면에서 월등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신체 언어는 무의식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언어적 메시지 이면에 숨겨진 심리를 그대로 노출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체 언어를 통해서 말로 표현되지 않은 이면의 메시지를 관찰하고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토대라 할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신체언어를 관찰하고 해석할 줄 안다면 자신이 표출하는 제스처를 객관화해.. 2023. 1. 29.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언어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의사소통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에는 언어적인 것도 있으나 비언어적인 것도 있습니다. 어떤 학자들은 언어적인 것보다 비언어적인 것이 의사소통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고도 합니다. 메시지 전달에서 음성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7%, 목소리가 차지하는 비중 38%, 그리고 비언어적인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55%에 달한다고 합니다. 의사소통에서 언어적 메시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7%밖에는 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물론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실제 대화 상황에 참여해 본 사람이라면 비언어적인 요소, 즉 목소리, 표정, 눈, 몸짓 등이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못할 것입니다. 따라서 비.. 2023. 1.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