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말하기2

효과적인 말하기 효과적인 말하기를 한다는 것 (1) 말하기 기본자세 말을 한다는 것은 상대방에게 무엇을 가르쳐주거나 상대방을 설득시키거나 상대방의 신뢰를 얻거나 상대방에게 감명을 주거나 하는 여러 가지 목적이 있지만 이와 같은 말의 목적에 어울리는 화법이라는 문제에 이르고 보면 어려운 점이 매우 많습니다. 물론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최소한의 말하는 기술을 익히고 있고 살아가는 데 큰 불편함이 없이 생활 언어를 구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야기의 목적에 따라서 이치에 맞게 화법을 구사하는 데 있어서는 부족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말하기의 기본자세 음성의 크기는 장소와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합니다. 말은 정확한 발음으로 합니다.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합니다. 알아듣기 쉬운 말을 사용합니다. 표준말을 사용.. 2023. 1. 31.
질문하는 방법과 말하기 질문하는 방법 보름달을 따다 달라고 한 어린 공주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광대가 공주에게 달의 모양과 크기, 색깔을 질문하여 알아내고 그 대답대로 대로 손톱 크기만 한 황금 구슬을 만들어주는 옛날이야기가 있습니다. 불가능한 일을 가능하게 만든 것은 바로 질문의 힘입니다. 케네디는 취임 연설문에서 "국민 여러분,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로 묻지 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자문해 보세요."라고 합니다. "모든 국민은 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라고 강조하면 상대방은 강요당하는 기분이 들어 반발심을 갖고 반감을 갖게 됩니다. 그렇지만 "모든 국민이 국민으로서의 국민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습니까"라고 수사학적 질문을 하면 자신에게 묻고 동의를 구하.. 2023. 1. 29.
반응형